본문 바로가기
IT 관련/Server

서버에 대한 기초 정리 중..

by 재재IT 2022. 11. 10.

1. 내 IP와 네트워크 Address 주소 확인법 : 서버에서 ifconfig /  윈도우에서는 ipconfig
2. 리눅스 VIP (Virtual ip address) 확인법:

 - ip addr show eth0
 - /etc/sysconfig/network-scripts

 - ifcfg-eth1

AIX 서버 점검 방법
1. lsdev -Cc disk (physical disks 확인)
2. lsdev -Cc memory (memory 확인)
3. lsdev -Cc adapter
4. vmstat -s (프로세스 상태,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입출력, CPU 사용량 통계)
5. lsconf 장치정보

JBOSS 점검 명령어
1. free -th && top -b -n 1 | head -2

2. Standalone.xml 환경에서 localhost 바인드로 인스턴스 실행

 - Standalone 구성이란 ? : 시스템에 독자적으로 프로세스가 구동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

  - etc/inetd.d/ 디렉토리에 주로 생성되어 있음

3. inetd(xinetd) type
데몬이 구동중이다가 외부에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자신에게 종속된 데몬중 해당하는 데몬을 구동시킨 후에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해준다.

4. 파일 위치와 기능
기본 설정파일 위치 : /etc/httpd/conf/httpd.conf

그 밖의 추가 애플리케이션 설정 위치 : /etc/httpd/conf.d/ (php.conf, phpmyadmin.conf, ssl.conf 등이 위치하게 된다)

로그 파일 위치 : /etc/httpd/logs -> /var/log/httpd 링크되어 있다.

모듈 위치(64비트) : /etc/httpd/modules -> /usr/lib64/httpd/modules 링크되어 있다.

프로세스의 PID 저장위치 : /etc/httpd/run -> /var/run/httpd 링크되어 있다.

기본 홈페이지 위치 : /var/www/html

CGI 파일들이 실행될 위치 : /var/www/cgi-bin

에러코드별 에러파일 위치 : /var/www/error

이미지아이콘 파일들 위치 : /var/www/icons

5. netstat 명령어

netstat -tnl < t = TCP, n = 10진수, L = listening

netstat -an | grep "LISTEN"

top 명령어
Shift + p << CPU 사용률이 높은 프로세스 순서대로 표시
Shift + M << 메모리 사용률이 높은 프로세스 순서대로 표시
Shift + t << 프로세스가 돌아가고 있는 시간 순서대로 표시

SAN (Storage Area Network) : 스토리지를 전용 네트워크로 연결해 스토리지에 담긴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술
즉, 서버는 서버끼리 한곳에 통합관리하고 스토리지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 관리 할 수 있음.
저장장치에 엑세스 하기 위해 SCSI(스카시) 명령을 사용

SAN은 스토리지, 저장장치에 중심을 둔 기술 / NAS는 네트워크에 중점을 둔 기술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해 서버와 스토리지 중간에 파일서버를 탑재, 스토리지와 서버를 접속하는 기술
저장장치에 엑세스 하기위해 NFS(Network File System),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명령을 사용

RAID 0 (디스크 스트라이핑)
데이터를 블럭으로 쪼개서 저장하는데 각 블럭은 다른 디스크로 나뉘어 저장된다.
장점 : 매우 빠르다.
단점 : 드라이브 하나가 고장 나면 이 RAID 레벨은 어떤 안전장치도 없기 때문에 전체 어레이가 고장 날 수 있다.

RAID 1 (디스크 미러링)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는 두 개의 물리적인 디스크에 각각 저장되고 모든 데이터는 중복된다
장점 : 하나 고장 시 다른 드라이브가 하나 더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다.

 

마이그레이션 : 데이터나 소프트웨어를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애플리케이션 마이그레이션, 운영 체제 마이그레이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등이 있습니다.

 - 예시 : 온프레미스 인프라에서 클라우드 인프라로 이동 시키는것.

 

클라우드 MSP

MSP란 Managed Service Provider의 약자로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업체를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영역을 의미함.

역할 : 컨설팅, 마이그레이션, 운영 관리 등 다양한 영역을 다룬다.

 

업체 역할
CSP (Clou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
 자체 데이터 센터를 가상화한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을 제공
MSP (Managed Service Provider)
매니지드 서비스 공급자
 CSP와 고객을 연결하는 역할
 클라우드 도입에 필요한 컨설팅, 아키텍처 구축, 모니터링, 보안 등을 제공

1. CSP 대표 업체 (AWS, 네이버 클라우드 등)

2. MSP 대표 업체 (메가존(AWS 지원 대표), 베스핀글로벌, 메타넷티플랫폼)

 

클라우드 CSAP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

사용자가 클라우드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 (KISA에서 인증을 제공)

  • IaaS 분야 DaaS 분야 인증의 유효기간은 5년으로 운영
    SaaS
    분야 인증은 표준등급에 대해서는 유효기간을 5, 간편등급에 대해서는 유효기간을 3년으로 운영

'IT 관련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WAS-DB 3-Tier  (0) 2022.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