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관련/Cloud2

호스트OS, 하이퍼바이저, 컨테이너 가상화 차이 1) 호스트 OS 가상화 (Host) 호스트 OS위에 게스트 OS를 올려 사용하는 방식이며, - 장점 : 가상의 하드웨어를 에뮬레이팅하기 때문에 호스트 운영체제에 크게 제약이 없음 - 단점 : OS위에 OS가 얹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클 수 있음 예) 대표적으로 윈도우OS에서 사용하는 VMware Workstation이나, Virtual 박스처럼 윈도우 OS위에 칼리리눅스나 리눅스를 새로 올려 사용이 가능하다. 2) 하이퍼바이저 - 전가상화, 반가상화 호스트 OS없이 하드웨어에 하이퍼바이저를 직접 올려 사용하는 방식이다. - 장점 : 별도의 HOST OS가 없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적고,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사용 - 단점 : 자체적으로 머신에 대한 관리 기능이 없어.. 2022. 11. 2.
클라우드에 대한 기초 비전공자로서 현재 전공자이지만 클라우드에 관한 내용을 많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과연 그러면 클라우드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비전공자한테) 일단 클라우드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을 거라 생각한다. 클라우드는 구름이라고 표현하면 제일 좋을꺼 같다. '구름같이 잡을 수 있지만 잡을 수 없는 존재'라고 설명하면 너무 몽환적인거 같으나 이 말이 맞다. 현재 대부분의 서버는 on-premise(온프레미스) 방식에서 off-premise인 클라우드로 변경하고 있다. * 온프레미스 : 서버실에 서버가 존재하는 방식 구성하는 부분에서도 매우 쉽고 가상으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관리와 가성비 측면에서 기업에서 운영하기 탁월하다. 매일 같이 서버실 가서 물리적으로 이상있는지 확인하는 측면보다 서버는 다른곳에서 운영해주고.. 2022.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