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관련/Cloud

호스트OS, 하이퍼바이저, 컨테이너 가상화 차이

by 재재IT 2022. 11. 2.

1) 호스트 OS 가상화 (Host)


호스트 OS위에 게스트 OS를 올려 사용하는 방식이며,
 - 장점 : 가상의 하드웨어를 에뮬레이팅하기 때문에 호스트 운영체제에 크게 제약이 없음
 - 단점 : OS위에 OS가 얹히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클 수 있음
             예) 대표적으로 윈도우OS에서 사용하는 VMware Workstation이나, Virtual 박스처럼 윈도우 OS위에 칼리리눅스나

                   리눅스를 새로 올려 사용이 가능하다.

2) 하이퍼바이저 - 전가상화, 반가상화


호스트 OS없이 하드웨어에 하이퍼바이저를 직접 올려 사용하는 방식이다.
 - 장점 : 별도의 HOST OS가 없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적고,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사용
 - 단점 : 자체적으로 머신에 대한 관리 기능이 없어서 관리를 위한 컴퓨터나 콘솔 필요(이게 콘솔접속을 해야 하는 주 이유)

 

1)  하이퍼 바이저 종류
 - 전가상화 :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하여 모든 명령을 하이퍼바이저가 중재하여 성능 느림
 - 반가상화 :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 하지 않고, 하이퍼 콜(Hyper Call)이라는 인터페이스로 하이퍼바이저에게

                    직접 요청을 날림 - 전가상화보단 빠름

3) 컨테이너 가상화


 - 호스트 OS위에 컨테이너 관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논리적으로 컨테이너를 나누어 사용, 각각 개별서버처럼 사용이     가능
 - 장점 : 오버헤드가 적고 가볍고 빠르다
   예) Docker가 예시로 제일 좋음

 

호스트 OS는 대부분 성능면에서 오버헤드가 너무 커서 집에서 사용을 많이 하며(취약점 진단 툴(칼리 리눅스, 와이어샤크, Pcap 등)으로 OS 설치시에 iso파일로 용이하고, 하이퍼바이저를 대부분 기업에서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호스트 OS는 실제 PC의 리소스를 공유하는 방식(하드, 램, CPU등)
하이퍼바이저형은 VMWare ESXi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후에 윈도우, 리눅스 등의 OS를 설치하는 방식 (데이터센터는 다 VMware도 이걸 사용)
컨테이너 형은 OS가상화가 아닌 소프트웨어를 가상화하는거에 목적이 있어, 컨테이너 별로 구성하기 때문에 개발에 매우 용이

 

 

참조 : https://lee-automation-lab.tistory.com/

'IT 관련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에 대한 기초  (0) 202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