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관련/Cloud

클라우드에 대한 기초

by 재재IT 2022. 10. 2.

비전공자로서 현재 전공자이지만 클라우드에 관한 내용을 많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과연 그러면 클라우드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비전공자한테)

 

일단 클라우드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을 거라 생각한다. 클라우드는 구름이라고 표현하면 제일 좋을꺼 같다.

 

'구름같이 잡을 수 있지만 잡을 수 없는 존재'라고 설명하면 너무 몽환적인거 같으나 이 말이 맞다.

 

현재 대부분의 서버는 on-premise(온프레미스) 방식에서 off-premise인 클라우드로 변경하고 있다.

   * 온프레미스 : 서버실에 서버가 존재하는 방식

 

구성하는 부분에서도 매우 쉽고 가상으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관리와 가성비 측면에서 기업에서 운영하기 탁월하다.

 

매일 같이 서버실 가서 물리적으로 이상있는지 확인하는 측면보다 서버는 다른곳에서 운영해주고 배포, 개발부분인 소프트웨어 쪽만 관리해주면 얼마나 편하고 좋은가.. 가성비 측면에서도 물리적으로 유지보수가 필요없기 때문에 우수하다.

 

클라우스 서비스 구성

클라우드 서비스 부분에서는 IaaS, PaaS, SaaS로 구분을 할 수 있다.

 

1. IaaS(Infrasture as a Service) : 서비스 인프라,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가장 넓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예 ) AWS, EC2, 가비아의 g클라우드 등

2. PaaS(Platform as a Service) : 서비스로서의 플랫폼이라는 의미이며, 가상화된 클라우드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을 구축하여 서비스 형태로 제공

    예 ) 세일즈포스닷컴의 Heroku, 레드헷의 OpenShift 등

3. SaaS(Software as a Service) :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가장 완성된 형태의 클라우드, 인프라위에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IT 인프라 자원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및 업데이트, 버그 개선 등의 서비스를 업체가 도맡아 제공

    예 ) 슬랙, MS 365, 드롭박스, 세일즈 포스 등

 

요약 :

클라우드는 여러 방향에서 서비스 활용도가 좋음

장점 : 비용절감, 완성형 서비스 활용으로 시간 절감

단점 : 가상화 인프라의 취약점, 자원 공유로 인한 취약성, 자원 집중화로 인한 취약점, 클라우드 환경 자체의 장애 발생에 대한 블랙박스 문제

 

참조 이미지 :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29866499&memberNo=34865381

'IT 관련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스트OS, 하이퍼바이저, 컨테이너 가상화 차이  (0) 2022.11.02